설계도서
- 공통(준공내역서, 공사시방서, 각종계산서, 토질조사 보고서, 기타 특이사항 보고서)
- 설계도면(공통, 토목, 건축)
시공관련자료
- 시공관련자료
- 품질관리 관련자료(재료증명서, 품질시험기록, 관리 및 선정시험 기록 등 각종시험 기록)
- 시설물의 주요 구조 부위에 대한 계측 관련자료
- 사고기록
- 항만시설 운영기록
지반조사 및 기초조사
토질 시험
말뚝의 시공유무, 근입량, 지지여부조사
용도 및 구조변경 조사
부등침하 및 변형 조사
균열 조사
콘크리트 노후화현상 조사
강재변형 조사
강재의 노후화현상 조사
육안 변형 조사
철근 부식 조사
강재 접합부 상태 조사
부대시설 상태 조사
주변환경 조사
기울기 조사
반발경도시험
초음파 시험
철근 배근상태 및 부식상태 조사
중성화 시험
압축강도 시험
염분량 시험
탄성 계수 측정
배합비 분석
흡수율 조사
강도 두께 측정
도장공사의 건조도막, 습도막, pin hole, 조도, 도료의 부착력 시험 등
용접 결함 검사 VT, RT, MT, UT, PT
경도시험
인장강도 시험
금속조직 검사
정적 변형률 측정
정적 처짐 측정
진동량 측정
내하력, 구조 등을 종합 검토
상태 및 안전성 평가
보수. 보강 방안 제시
사용제한 및 사용금지 여부 판단
개축여부 판단
◎ 염분이 철근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염분이 철근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은 콘크리트 중에 염화물이 존재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나 P.C 강재 등이 부식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영향을 입힌다.
보통 밀실한 콘크리트 중에서는 시멘트에 의하여 알칼리성이 높기 때문에 강재의 표면에는 20-60*10-10M 의 치밀한 부동태 피막이 생겨 일반적으로 강재가 부식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러나 콘크리트 내부에 염화물 이온 (CI-)이 일정량 이상 존재하면, 부동태 피막은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강재는 부식하게 된다.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었을 때, 염분과 알칼리 농도의 차이와 각종 밀실성의 차이 또는 철근이나 강재류 등의 표면이 화학적인 불균일성으로 인해 금속류의 표면 전위는 아노드부(양극)와 캐노드부(음극)가 생겨 전류가 흘러 부식이 되며 강재의 부식으로 인하여 생겨난 녹 즉, 수산화 제 2철 Fe(OH)3의 체적은 원래의 강체적보다 크기 때문에 그 팽창압에 의해 강재에 따라 균열이 발생한다.
결국,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은 산소와 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여 강재의 부식을 점점 빠르게 진행시키고, 강재 단면적의 감소 즉 철근 직경의 감소는 부재 내력의 저하까지 수반하게 된다.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함유량 시험 방법에는 생 콘크리트에 대한 염화물 조사방법과 경화된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조사 등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생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액상 중에 함유된 염소 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여기에 단위 수량을 곱하여 구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생 콘크리트의 염화물 측정법
ⓐ 콘크리트 표준액 0.2% 및 0.02%를 사용하여 측정 준비를 한다.
ⓑ 가압 용기에 상단까지 채운 후 조립한다.
ⓒ CI 이온의 염분 중량(kg/m2)이 표시된다.
경화된 콘크리트의 염화물 측정 방법
ⓐ 경화된 콘크리트는 물에 흡수된 세골제, 시멘트 량의 혼합비가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실험 결과는 수용액 환산치로서 나온다.
ⓑ 측정 결과의 계산법 경화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염분의 분석 해설안(일본 토목학회)에는 가용성 염분의 50% 염분이 유출된다. ex) (경화콘크리트 염분량)
※ 비파괴 검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자료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