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 구조물 용접의 기술적 검토(대조립의 Check point)
페이지 정보

본문
★ 대조립의 Check point
· 조립대의 수평정도는 좋은가.
· 조립대의 바닥판 높이는 좋은가.
· 수평정도의 조정방법은 고려하고 있는가.
· 조립용 지그의 부착은 용이하게 될 수 있는가.
예열이 필요한 이유로서, 기온이 낮은 경우의 용접과, 모재의 판이 두꺼운 경우의 용접에서는 용접부의 냉각속도가 빠르고, 첫 패스 용접부에 수축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용접부를 예열하므로서 냉각속도를 늦추게 해서, 용접부의 확산성 수소의 방출을 촉진시켜 냉각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용접부에서는 수분, 기름, 녹, 도료 등 용접에 유해한 것이 개재할 경우가 있는데 재질, 재료 두께에 관계없이 개선부분을 가볍게 예열하는 것은 이것들을 태워 버리므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용접부의 냉각속도는 용접입열량, 판두께, 개선형상, 외기온도 등에 의해서 변화하지만, 냉각속도와 열영향부의 변화, 재료의 취약화 등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강재의 탄소당량에 영향을 받는다.
* 입열량
여기서 E : 전압(V), I : 전류(A), V : 용접속도 (cm/min) 탄소당량
일반적으로
강재, SS41, SB41Ρ, SWS41 등은 탄소당량이 낮으므로, 외기온도가 0℃이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예열이 필요하지 않지만, 판이 두꺼운 경우와 구속이 큰 경우에서는 예열이 필요하다. 예열온도는 정확하게는 경사 y 슬릿시험을 행하여 실험치에서 구하는 것이 좋다. 대기온도가 낮은 경우는 예열을 하여도 냉각속도가 빠르므로, 적절한 때에 측정해가면서, 용접과 예열을 반복하는 것이 좋다. 한랭지에 있어서 예열작업은 대기온도가 낮은 까닭에 재질, 판두께에 관계없이 적절한 예열을 하는 것이 좋다.
* 탄소량과 예열온도
탄 소 량 (%) | 예 열 온 도 (℃) |
0.20 以下 | 90 以下 |
0.20 ~ 0.30 | 90 ~ 150 |
0.30 ~ 0.45 | 150 ~ 260 |
0.45 ~ 0.80 | 260 ~ 420 |
- 이전글철 구조물 용접의 기술적 검토(예열작업) 20.10.13
- 다음글철근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 종류 및 지침 20.10.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