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하시험 결과 분석 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 재하시험 결과 분석 방법
시험 결과 분석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1) 항복 하중 결정법
-건설부 세정에 의거 P-S 곡선 분석, logP-logS 곡선 분석, S-log(t) 분석, △S/△(logt) - P 분석법, DAVISSON 분석법 등에 의한 비교 분석.
2) 극한 하중 결정법
- 영국 기초 공업기준(0.1D) 기준.
3) 하중 - 침하량 곡선에 의한 분석법 <극한 하중의 분석법>
재하시험에서 항복하중과 극한하중을 구하는 방법은 (그림 -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의 곡선부가 현저하게 구부러질 때의 최대 곡선을 나타내는 점 A의 하중 P1 을 항복하중으로 한다.
다음의 (그림4-2)의 (a)는 독일의 DIN 1504, 영국의 기초시공규준 CP 2004(Code of practice 2004)에서 제안한 방법으로서 하중 - 침하곡선이 급변하는 점을 극한하중으로 판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림4-2)의 (b)는 S초두차(1951)가 제안한 방법으로 하중- 침하곡선의 곡선 상태에서 기울기가 직선 상태로 변하는 하중을 극한하중이라고 판정한다.
|
(a)DIN 1054번 |
(b)Schenck법 |
그림(4-1) 항복하중과 극한하중 | 그림(4-2) 하중-침하곡선에 의한 극한 하중 판별방법 |
4) 전 침하량에 의한 분석법
pile의 한 하중이 pile 선단의 침하량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pile의 특정한 침하량을 규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하중을 극한하중으로 결정한다면 명확하고 단순한 특징을 가지게 되어 분석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극한하중에 대응하는 pile 침하량의 규정치는 다음과 같이 각 나라, 기관 및 연구자에 따라 불일치되고 있다.
극한하중에 대응하는 전체 침하(Su)의 규정치
적용국가 & 기관 | [Su](mm) | 허용지지력을 구할 때의 안전율 | 비고 |
독일/ DIN 4014 | 20 |
| - 부동침하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은 구조물 - 부동침하에 민감한 구조물 - 대구경 현장 말뚝 - 소구경 현장 말뚝
* D : 말뚝 직경 |
프랑스 | 20 |
| |
체코슬로바키아 | 15-20 | 2 | |
오스트리아 | 25 |
| |
네덜란드 | 25.4 |
| |
뉴욕시 기준 | 25.4 |
| |
인도 I.S 2911 기준 | 12 | 1.5 | |
TERAZAGH/PECK(1967) | 25.4 | 1.5 | |
WOODWARD(1972) | 12.7-26.4 | 1.5-2 | |
TOUMA/REESE(1974) | 25.4 |
| |
소련 건축공정 연구소 | 30-40 |
| |
소련 건축시공 과학연구소 | 80 |
| |
중국 도로 연구소(1976) | 40 |
| |
중국 북경시 말뚝 기초연구소(1971) | 15-20 | 2 | |
일본 구건축학회기준 | 25(항복하중) | 2 | |
일본 토질공학회(1971) | 25(항복하중) | 2 | |
JOHNSON(1973) | < 0.1 D |
| |
영국 기초공업 기준(1975) | < 0.1 D |
| |
CAPPER/CASSIE | < 0.1 D |
|
- 이전글항복하중의 분석법 20.10.13
- 다음글철 구조물 용접의 기술적 검토(용접) 20.10.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